1. OBS란
- OBS는 Open Broadcaster Software의 약자로 무료 및 공개 소프트웨어
- 방송 보조 및 동영상 캡처(녹화) 등 인터넷 방송을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오픈 소스 및 자유 소프트웨어
-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고쳐 쓸 수도 있고, 플러그인을 추가하면 굉장히 다양한 설정을 지원 가능
- 해상도, 서버 선택 등 방송 관련 설정 가능
- 여러 가지 장면 설정과 게임화면 구석에 웹캠 화면이나 광고 이미지 등의 삽입도 가능
- 유튜브 또는 트위치 등 라이브 방송에 많이 사용됨
- 워터마크가 없는 화면 녹화를 쉽게 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
- OBS는 Windows 10, macOS, Linux를 모두 지원
- OBS 공식 페이지 : https://obsproject.com/ko
Open Broadcaster Software | OBS
영상 녹화와 실시간 방송을 할 수 있는 무료 및 공개 소프트웨어입니다. 윈도우, 맥 혹은 리눅스 환경에서 빠르고 쉽게 방송 할 수 있습니다.
obsproject.com
- OBS 플러그인 호환성 페이지 : https://obsproject.com/kb/obs-studio-28-plugin-compatibility
OBS Studio 28 Plugin Compatibility | OBS
OBS Studio 28 Plugin Compatibility 2022-08-31 This page tracks plugin compatibility with OBS Studio 28. This list is not exhaustive; for a full list of plugins and updates, visit the Plugin Resources page on the OBS Studio forums.
obsproject.com
2. OBS 설치
- 설치 경로 : https://obsproject.com/ko
- 홈페이지 창이 뜨면, 운영체제에 맞는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3. OBS Studio 사용법 : 설정하기
- 오른쪽 아래 설정 버튼을 눌러 설정 들어가기 → 몇 가지 설정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설정은 기본 설정
- 변경해야 할 설정 설명
3.1. 방송 설정
- 방송 설정은 어떤 방송으로 송출할 것인지 설정
- 기본은 트위치로 설정
- 서비스 항목을 클릭해서 원하는 송출 서비스를 선택
- 아래는 라이브 방송할 플랫폼 서비스 선택 화면
- 유튜브의 방송 설정
- 유튜브 / 유튜브 게이밍을 선택
- 스트림 키를 입력 → 스트림 키는 유튜브 실시간 방송하기를 세팅하면 받을 수 있음
- 아래는 라이브 방송 스트림키를 입력 화면
3.2. 출력 설정
- 출력에서 다른 것은 크게 건드릴 것이 없음
- 단, 녹화 경로는 넉넉한 공간이 있는 하드 드라이브로 설정 필요
- 녹화 형식은 제일 많이 쓰는 mp4로 설정하셔도 되고, mkv 형식도 크게 문제는 없었음
- 출력방식 같은 경우, 컴퓨터가 좋지 않으면 단순, 좋으면 고급으로 설정 → 고급을 선택하면 더 세부적으로 설정 가능
- 아래 라이브 방송이 녹화될 저장소 선택 화면
3.3. 단축키 설정
- 실시간 방송에 로고 화면 또는 타이틀 화면 같은 것이 있거나, 장면을 전환해야 하는 경우 단축키를 설정하면 편리함
- 단축키 설정을 하려면, 먼저 사용할 장면을 미리 만들어야 함 → 만들어진 장면으로 전환할 키를 설정
- 설정이 완료되면 적용을 눌러서 변경한 설정을 저장
- OBS Studio 단축키 설정
4. OBS Studio 사용법 : 장면 및 소스 설정
4.1. 장면 추가 및 제거
- 장면은 기본적으로 1개가 설정되어 있음
- 장면을 전환할 필요가 있어 더 필요한 경우, 장면에 있는 + 버튼을 눌러 추가
- 불필요하면 해당 장면을 선택한 상태로 – 버튼을 눌러서 삭제
- 여러 개의 장면을 사용하는 경우 장면을 추가 장면
4.2. 소스 추가 및 제거
- 장면에 보일 화면 소스를 설정
- 장면 옆에 있는 소스 목록에서 +를 눌러 원하는 소스를 추가 → 소스는 다양
- 화면 소스를 선택 화면
- 게임 캡쳐
- 게임 화면을 캡처하는 기능 → 롤이나 배그의 게임 화면을 캡처할 때 사용
- 게임 캡처를 선택하기 전에 송출할 게임을 미리 켜놓아야 함 → 그렇지 않으면 목록에 없음
- 방식 → 특정 창을 캡쳐 선택
- 윈도우 → 송출할 게임의 창을 선택
- OBS Studio 게임 캡처 화면 소스 선택
- 디스플레이 캡쳐
- 현재 화면에 보이는 것을 송출할 때 사용
- 화면에 게임도 놓고, 웹브라우저도 켜놓고 이런 저런 다른 소스를 복합적으로 송출할 때 사용
- 미디어 소스
- 동영상 같은 로컬 파일을 송출할때 사용하는 방식
- 뮤직비디오를 틀거나, 개인 동영상을 라이브 방송할 때 사용
- 브라우저
- 인터넷 주소를 치면 해당 주소의 내용이 송출
- 라이브 채팅창을 보여주는 것 이외에는 별로 쓰임새가 없음
- 라이브 채팅창도 디스플레이에 배치해서 쓰이므로 크게 쓰이지 않음
- 비디오 캡처 장치
- 웹캠 같은 것을 송출할 때 사용
참고 자료
'Media(미디어) > OB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S Studio 동영상 파일 넣기 (0) | 2023.09.18 |
---|---|
OBS 송출 설정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