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영상 송출 설정 (출력 설정) →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 함

 

▣ 인코더

  • x264로 설정
  • OBS Studio가 설치된 PC의 CPU가 인코딩하도록 설정
  • 그래픽카드가 탑재된 PC라면 그래픽카드가 영상을 인코딩할 수 있도록 설정 가능


▣ 데이터율 제어

  • VBR로 선택
    1. CBR - 고정 비트율 - 일정한 비트레이트를 유지
    2. VBR - 가변 비트율 - 움직임이 적은 곳과 많은 곳을 구분해 다르게 할당


▣ 비트레이트

  • 라이브 할 콘텐츠 Type에 따라 적정 비트레이트를 설정
  • 해상도별 비트레이트 정보는 아래 참고 자료 확인


▣ 버퍼의 크기

  • 버퍼의 크기는 설정한 비트레이트 * 5으로 설정
  • 최초 재생 시 버퍼를 미리 받아 네트워크나 순단의 이슈가 발생하더라도 미리 받아 둔 버퍼를 재생하기 때문에 영상을 전달받지 못한 구간에서 실제 시청자들은 버퍼의 영상을 재생하기에 인지하지 못함

 

▣ 키프래임 간격(Key Frame  Interval)

  • 1 ~ 2초를 권장
  • 1초로 설정할 경우, FPS 당 Key Frame이 1개씩 들어가게 됨

 

 

2.  영상 송출 설정 (해상도별 권장 비트레이트)

  •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해상도는 FHD(1920x1080)
  • 스트리머의 모습을 담는 영상의 경우 30fps를 권장

 

  • 해상도별 비트레이트 정보
    해상도 프레임 속도 권장 비트레이트
    1280x720 (720p) 30fps 1.5 ~ 4Mbps
    1280x720 (720p) 60fps 2.25 ~ 6Mbps
    1920x1080 (1080p) 30fps 3 ~ 6Mbps
    1920x1080 (1080p) 60fps 4.5 ~ 9Mbps
    2560x1440 (1440p) 30fps 6 ~ 13Mbps
    2560x1440 (1440p) 60fps 9 ~ 18Mbps
    3840x2160 (2160p, 4K) 30fps 13 ~ 34Mbps
    3840x2160 (2160p, 4K) 60fps 20 ~ 51Mbps

 

 

3.  영상 송출 설정 (비디오 설정) → 방송에 사용될 해상도와 FPS 값을 설정

 

▣ 기본 (캔버스) 해상도

  • 현재 모니터 해상도로 설정


▣ 출력 (조정된) 해상도

  • 방송에 송출될 해상도를 설정


▣ 축소 필터

  • 기본 해상도와 출력 해상도가 다를 때 이를 맞추기 위해 사용
  • Bilinear(낮은 성능), Bicuubic(중간), Lanczos(고성능)이 있으며, 높은 성능일수록 CPU 사용량이 증가함


▣ FPS (Frames Per Second)

  • 1초의 영상에 담긴 사진의 수를 의미
  • 사용하실 FPS는 반드시 29.97 또는 30으로 설정

 

 

4.  영상 송출 설정 (방송 설정) → 방송할 서버의 주소에 대한 정보와 영상 이름을 입력

 

 

 
▣ 서비스
  • 송출할 서버로 송출할 수 있도록 사용자 지정을 선택
  • 사용자 지정을 선택해 송출할 서버를 지정 가능

▣ 서버

▣ 스트림 키
  • 송출할 영상의 이름 지정
  • 작성된 스트림 키가 실제 콘텐츠명이 됨
  • 예시 : hippostream

 

 

5.  화면조정 → 영상 크기를 조절

  • OBS Studio에서 보이는 영상의 크기가 실제 송출될 영상의 크기가 됨

 

 

6.  영상 송출 → 방송 시작

  • 에러 문구 없이 시작이 된다면 정상적으로 송출

 

 

'Media(미디어) > OB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BS Studio 동영상 파일 넣기  (0) 2023.09.18
OBS(Open Broadcaster Software)란  (0) 2023.09.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