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ID (부모 프로세스) - 선행 프로세스라고도 하며, 자식 프로세스 생성 가능 - fork() 호출을 통해 자식 프로세스 생성 - 부모 프로세스는 여러 개의 자식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다수의 작은 작업들을 동시에 처리
자식 프로세스 - 부모 프로세스가 처리 중인 파일 등을 공유 - 부모 프로세스에서 fort()하여 생긴 프로세스 - 프로그램에서는 부모 프로세스의 복사로 부모와 교신하면서 프로세스 진행
init - 부팅되면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init, init의 PID는 1 - init 프로세스는 파일 시스템의 구조 검사 -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하고 서버 데몬을 실행하며, 사용자 로그인을 기다리고 사용자를 위한 셸을 실행하는 역할 - /etc/initab : 처음 수행해야할 작업들을 설정하는 파일,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런레벨에서 init 프로세스가 수행해야할 파일을 지정
2.2 프로세스 관련 명령어
ps 명령어 : 현재 작동하는 프로세스 목록,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출력
kill 명령어 : 현재 작동하는 프로세스 종료
top 명령어 : 실시간 프로세스 모니터링
2.3. 프로세스 상태
프로세스의 상태 종류 : 생성, 준비, 실행, 대기, 종료
new : 프로세스가 생성된 상태
ready : 프로세스가 생성된 후 프로세서에 할당되기를 기다리는 상태
running : 프로세서에 할당되어 CPU를 차지하고 있는 상태
wait : 프로세스가 특정 이벤트를 기다리는 상태 → 프로세서에 할당되어 있지만 프로세서의 클락을 낮추거나 일시적으로 멈춤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상태
terminated : 프로세스 종료된 상태
프로세스의 상태 전이
Dispatch (ready -> running)
여러 프로세스들 중 한 프로세스를 선정하여 CPU에 할당하는 과정
Interrupt (running -> ready)
할당된 CPU 시간이 지나면 Timeout Interrupt 가 발생하여 CPU를 다른 프로세스에게 양도하고 자신은 ready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Block (running -> waiting)
I/O 등의 자원 요청 후 즉시 할당받을 수 없어, 할당받을 때까지 기다리기 위해 running에서 waiting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I/O 처리는 CPU가 아닌 I/O 프로세스가 담당하기 때문에 block이 발생함
Wakeup (waiting -> ready)
필요한 자원이 할당되면 프로세스는 waiting에서 ready 상태로 전이되는 과정
2.4. 프로세스의 구성
2.4.1. 프로세스 메모리
운영체제는 프로세스마다 고유의 가상 메모리 공간 제공
프로세스 메모리 공간은 다시 코드, 데이터, 스택, 힙 영역으로 세분화
text section instruction(text section) - 컴파일된 기계어가 저장되는 영역 - compile time에 크기 결정
data section - 사전에 선언된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 - compile time에 크기 결정 - 내부 data&bbs 영역으로 구분 •initalized data section → 초기화된 전역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DATA) •uninitialized data section→ 초기화되지 않은 전역 변수가 저장되는 영역 (BBS)
heap - new, delete, malloc, free 등을 호출하여 데이터를 저장 & 관리하는 영역 - runtime에 크기가 결정
stack - 매개변수, 지역변수, return 주소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 - 컴파일러에 의해 run time 도중 크기가 결정되며, 함수가 호출 & 종료되는 시점에 생성 & 제거
2.4.2. PCB (Process Control Block)
PCB는 특정한 프로세스를 관리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포함하는, 운영체제 커널의 자료구조
운영체제가 프로세스 스케줄링을 위해 프로세스에 관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
운영체제에서 프로세스는 PCB로 나타냄
PCB는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자료 구조
각 프로세스가 생성될 때마다 고유의 PCB가 생성되고,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PCB는 제거됨
프로세스는 CPU를 점유하여 작업을 처리하다가도 상태가 전이되면, 진행하던 작업 내용들을 모두 정리하고 CPU를 반환 필요
진행하던 작업들을 모두 저장하지 않으면 다음에 자신의 순서가 왔을 때 어떠한 작업을 해야하는지 알 수 없는 상태에 빠짐
프로세스는 CPU가 처리하던 작업의 내용들을 자신의 PCB에 저장하고, 다음에 다시 CPU를 점유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할 때 PCB로부터 해당 정보들을 CPU에 넘겨와서 계속해서 하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음
PCB는 다른 프로세스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고, kernel 영역에 저장
PCB 저장 정보 : process state, PID, PPID, CPU registers, program counter, CPU scheduling 정보, Memory 관리 정보, accounting 정보, I/O 상태 정보
install 명령어 사용하여 파일 복사하면, 복사된 파일이 기존 파일과 동일한 권한을 상속함
복사된 파일은 복사를 수행한 사용자 및 그룹에 대한 권한을 가짐
install 명령어 경로
/usr/bin/install
install 명령어 사용법
install [옵션] [파일] 디렉토리
install 명령은 파일의 권한 속성들, 소유주, 그룹을 지정해서 복사
cp 명령과 비슷하지만, 필요하면 파일이 복사될 경로를 만들고, 다른 소유자나 그룹을 지정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
install 명령어는 컴파일 된 프로그램을 정확한 위치에 설치하는 데 사용 → Makefile에서 사용
install 명령어 옵션
short 옵션
long 옵션
설명
-d
--directory
대상 디렉터리를 지정 지정한 디렉터리가 없다면 대상 디렉토리 생성함
-g group
--group group
새로운 파일의 그룹 권한을 지정한 group ID 혹은 group 이름으로 설정
-m mode
--mode mode
새로운 파일의 퍼미션을 지정한 mode 값으로 설정 기본값은 0755
-o [owner]
--owner [owner]
파일의 소유자(owner)를 설정 만약 root 계정에서 지정하지 않으면, root 소유권 설정
-s
--strip
심볼 테이블을 제거
--help
사용법 출력
--version
버전 정보 출
install 명령어 예시
### test.txt 파일 권한 및 퍼미션 확인
$ ls -al ./test.txt
-rw-r--r-- 1 hippo hippo 5 Mar 13 01:02 ./test.txt
### install 명령어로 test.txt 파일 /tmp로 복사
$ install -m 777 test.txt /tmp
### /tmp/test.txt 파일 복사 및 권한, 퍼미션 확인
$ ls -al /tmp/test.txt
-rwxrwxrwx 1 root root 5 Mar 13 01:04 /tmp/test.txt
다중 파티션 장점 • 파티션마다 독립적인 파일 시스템이 운영되기 때문에 파일 점검 시간이 줄어들어 부팅 시간 단축 • 특정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더라도 다른 파티션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높은 안정성 보장 • 필요한 파티션만 포맷할 수 있기 때문에 백업과 업그레이드 편리
파티션 종류
종류
설명
주 파티션 (Primary Partition)
• 부팅이 가능한 기본 파티션 •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최대 4개의 주 파티션 분할 가능 • 하드디스크를 4개 이상의 파티션으로 사용할 때 하나의 확장 파티션을 설정하여 확장 파티션 안에 여러 개의 논리 파티션을 분할하여 데이터 저장
확장 파티션 (Extended Partition)
• 주 파티션 내에 생성, 하나의 물리적 디스크에 1개만 생성 • 파티션 번호는 1~4번 할당 • 데이터 저장 영역을 위한 것이 아니라 논리 파티션 생성
논리 파티션 (Logical Partition)
• 확장 파티션 안에 생성되는 파티션 • 논리 파티션은 12개 이상 생성하지 않는 것을 권고하며 5번 이후의 번호 생성
스왑 파티션 (Swap Partiton)
•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영역 • 주 파티션 또는 논리 파티션에 생성 • 프로그램 실행 시 부족한 메모리 용량을 하드디스크로 대신 사용 • 리눅스 설치 시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영역 • swap 영역의 크기는 메모리의 2배를 설정하도록 권고
2. 디스크와 장치명
예시) /dev/sda3
sd
하드디스크 유형 지정 1. sd : SCSI 또는 USB 방식 디스크 2. hd : IDE 또는 ATA 방식 디스크
a
한 케이블에 묶인 하드디스크의 우선순위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로 설정 • 첫 번째 하드디스크 : a • 두 번째 하드디스크 : b
3
파티션 번호 • 1~4번 : primary 또는 extended • 5번부터 : logical 파티션
3. 파일시스템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 파티션 상에 구성하는 방식
유형파일 시스템 유형종류
시스템 유형
종류
리눅스 전용 파일 시스템
• ext, ext2, ext3, ext4(최대 16TB 지원)
저널링 파일 시스템
• JFS, XFS(최대 파일 시스템 크기 지원, CentOS 7 버전 기본), ReiseFS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 SMB, CIFS, NFS
클러스터링 파일 시스템
• 레드햇 GFS, SGI, cXFS, IBM, GPFS, IBM SanFS 등
시스템 파일 시스템
• ISO9660, UDF
타 운영체제 지원 파일 시스템
• FAT, VFAT. FAT32, NTFS, HPFS, SysV - FAT32 1. 포맷을 할 경우 지원하는 드라이브의 최대 크기 32GB 2. 단점 : 개별 파일 하나당 저장할 수 있는 최대 크기 4GB
• NTFS 1. FAT32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형식 NFTS 방식으로 포맷할 경우 드라이브 최대 크기 256TB 2. 개별 파일 하나당 저장할 수 있는 최대 크기 16TB 3. 단점 : 윈도우 위주 형식, 호환성이 떨어지는 형태
4. LVM (Logical Volume Manager)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합쳐서 사용하는 기술로 한 개의 파일 시스템을 사용
작은 용량의 하드디스크 여러 개를 큰 용량의 하드디스크 한 개처럼 사용
다수의 디스크를 묶어서 사용함으로써 파티션의 크기 조절 가능
개념
설명
물리 볼륨
여러 개의 물리적 하드디스크
볼륨 그룹
물리 볼륨을 합쳐서 하나의 물리적 그룹을 만드는 것
논리 볼륨
볼륨 그룹을 나눠서 다수의 논리 그룹으로 나누는 것
5. RAID
종류
그림
설명
RAID 0
스트라이핑 저장 방식 : 연속된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나눠서 저장
최소 2개 하드디스크 필요
저장과 읽기 속도가 가장 빠르지만 하나의 디스크 고장 시 모든 데이터 손실
RAID 1
미러링 : 하나의 디스크에 저장하면 다른 디스크에 동일한 내용이 백업되어 저장
데이터 저장 시 두배 용량 필요
결함 허용을 제공하지만 공간 효율성은 떨어지며, 주요한 데이터 저장 시 적합
RAID 2
스트라이핑 저장 방식
기록용 디스크와 데이터 복구용 디스크를 별도로 제공하며, 디스크의 사용 효율성이 낮은 형태
오류 제어 기능이 없는 디스크를 위해 해밍코드 사용
모든 SCSI 디스크에 ECC(에러 검출 기능)를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지 않음
RAID 3
스트라이핑 저장 방식
오류 검출을 위해 패리티 방식 이용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전용 디스크를 사용, 최소 3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필요
데이터 복구는 패리티 저장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의 XOR를 계산하여 수행
대형 레코드가 사용되는 단일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
RAID 4
RAID 3과 유사한 방식 : 2개 이상의 데이터 디스크와 전용 패리티 디스크 사용
RAID 3은 Byte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반면 RAID 4는 Block 단위로 저장
RAID 5
디스크마다 패리티 정보를 갖고 있어 패리티 디스크의 병목 현상을 감소
사용 빈도가 높은 레벨이며, 최소 3개 디스크로 구성
1개의 디스크 장애 시 복구가 가능하며, 2개 이상의 디스크 장애 시 복구 불가능
RAID 6
RAID 5를 확장한 레벨이며, 최소 4개의 디스크로 구성
제2패리티를 두는 듀얼 패리티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
2개의 디스크 장애 시 복구가 가능하며, 3개 이상 디스크 장애 시 복구 불가능
RAID 0+1
RAID 0(스트라이핑 방식)과 RAID 1(미러링)을 조합
디스크 2개씩 RAID 0으로 구성 후 RAID0으로 구성된 하드디스크를 RAID1로 구성
미러링 전 스트라이핑을 진행하며, 속도는 빠르나 데이터 복구 시 시간 소요
RAID 1+0
RAID 0+1의 반대 구성
디스크 2개씩 RAID 1로 구성 후 RAID 1로 구성된 하드디스크들을 RAID0으로 구성
미러링 후 스트라이핑을 진행하여 손실된 데이터만 빠른 복원이 가능하므로 RAID 0+1 보다 운영상 유리
6. 파티션 분할
fdisk : 파티션 테이블을 관리하는 명령어로 리눅스의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 수정, 삭제
파일 시스템이 있는 최상위 디렉터리 모든 디렉터리의 출발점인 동시에 다른 시스템과의 연결점이 되는 디렉터리
/boot
부트 디렉터리로 부팅 시 커널 이미지와 부팅 정보 파일 저장
/proc
시스템 정보 디렉터리이며, 커널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 현재 실행되는 프로세스와 실제로 사용되는 장치, 하드웨어 정보 저장 가상 파일 시스템이며, 디렉터리에서 볼 수 있는 것은 실제 드라이브가 아니라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있는 것
/lib
공유 라이브러리 디렉터리 커널 모듈 파일과 프로그램 실행을 지원해 주는 라이브러리 저장
/bin
기본적인 명령어가 저장된 디렉터리 root 사용자와 일반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디렉터리
/dev
시스템 디바이스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하드디스크, 프린터, 입출력 장치 등과 같은 장치들을 파일화하여 관리
/etc
시스템 환경 설정 파일과 부팅 관련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터리 사용자 정보 및 암호 정보 파일, 보안 파일 등 저장
/root
시스템 관리자(root)용 홈 디렉터리
/sbin
관리자용 시스템 표준 명령 및 시스템 관리 관련된 실행 명령어 저장
/usr
사용자 디렉터리로 사용자 데이터나 애플리케이션 저장
/home
사용자 계정 디렉터리로 계정들의 홈 디렉터리가 위치 일반 사용자들이 로그인 시 처음으로 위치하게 되는 디렉터리
/var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가변적인 파일들을 저장하는 디렉터리 가변적인 파일인 로그파일, 스풀링, 캐싱 등 저장
/tmp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세스 작업 시 임시로 생성되는 파일 저장 모든 사용자에 대해서 읽기와 쓰기 허용 스티키 비트 설정으로 파일의 소유자만이 자신의 소유 파일 삭제 가능
/mnt
파일 시스템을 일시적으로 마운트할 때 사용
/lost+found
결함이 있는 파일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디렉터리
2. 리눅스 설치 필요 정보
2.1. 하드웨어
하드웨어
정보
CPU
제조사와 모델명 확인 32비트 CPU 또는 64비트 CPU 파악 가상화 환경에서는 CPU의 물리적 개수와 코어 개수 확인
메모리(RAM)
메모리 용량 확인 SWAP 파티션 설정 시 사용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의 파일명 확인 1. IDE 또는 ATA 하드 디스크 타입 파일명 : /dev/hdX 2. SATA, USB, SSD, SCSI 하드디스크 타입 파일명 : /dev/sdX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조사, 모델명, 유무선 여부, 어댑터 종류 TCP/IP 속성 정보 확인
2.2. 네트워크 설정
호스트명, 도메인, 컴퓨터 IP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주소, DNS 서버 주소
3. 커널
3.1.커널이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CPU나 메모리, 기타 디바이스 등의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역할
커널 기능 1. 하드웨어 리소스(CPU, 메모리, 스토리지 등) 관리 2. 소프트웨어에서 하드웨어 및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를 추상화
3.2. 커널 역할 및 기능
추상화 • 물리적으로 하나 뿐인 하드웨어를 여러 사용자들이 번갈아 사용하게 중재함으로써 마치 한 개의 하드웨어가 여러 개인 것처럼 보여지도록 하는 기술 • 물리적 자원을 추상화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디바이스 관리 • 디바이스 드라이버라는 하드웨어 입출력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장치 관리
프로세스 관리 • 리눅스에서는 프로그램 실행 시 파일 시스템 내 특정 디렉터리에 있는 프로그램의 파일을 읽어와 메모리에 적재 →프로그램이 메모리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 프로세스가 이용할 수 있는 CPU는 하나로 동시에 실행되는 프로세스 간 CPU를 이용할 수 있는 시간 분배 필요 → 커널은 각 프로세스 PID를 통해 관리하는 역할
메모리 관리 • 사용자 프로그램의 요구에 따라 메모리 영역을 분배하거나 이용이 끝난 메모리 영역 회수 등을 담당 • 가상 메모리 또한 지원(가상 메모리 영역 → swap)
시스템 콜 • 표준 출력이나 파일 쓰기/읽기, 프로세스를 포크(프로세스 복제)하는 기능 등을 갖고 있어 사용자 프로그램에서 액세스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
4. 하드웨어, CPU 작동 모드, 저장 장치의 특징, 소프트웨어
4.1. 하드웨어 목록
하드웨어
역할
CPU
계산 처리 수행하는 장치
레지스터 (CPU 내)
CPU 계산에 사용하는 값을 놓는 영역,전원을 끄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형태
캐시메모리 (CPU 내)
CPU와 메모리 간의 버퍼 • CPU의 계산 결과를 캐시 •전원을 끄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형태
메모리 (주 기억장지) (primary memory)
CPU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나 계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두는 디바이스 • CPU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기억 영역 • 전원을 끄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형태
스토리지 (보조 스토리지) (secondary memory)
메모리에 있는 계산 결과를 파일로 저장하는 디바이스 • CPU로 부터 액세스 불가능한 기억 영역 • CPU가 파일에 액세스하려면 한 번 메모리를 읽어야함, 전원을 꺼도 데이터 남아있는 형태
NIC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와 송수신하는 장치
4.2. CPU 작동 모드
CPU 동작 모드
하드웨어 액세스 제한
대상 소프트 웨어
프로세스 동시 실행
커널 모드
X
커널
가능
사용자 모드
O
커널 이외
불가능(인터럽트 발생)
4.3. 저장 장치의 특징
4.4. 소프트웨어 목록
이름
설명
프로그램
처리를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메모리에 로드된 실행 중 프로그램, 하위 프로세스는 새롭게 가상 메모리 확보
스레드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멀티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의 메모리를 공유해서 사용 가능
응용 프로그램
컴퓨터에 사용하는 목적에 따라 제작된 기능적 프로그램
모듈
특정 기능을 가진 작은 프로그램, 모듈을 결합하여 응용 프로그램과 라이브러리 생성
라이브러리
재사용 가능한 형태로 정리한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단독으로는 동작 X
패키지
프로그램의 실행에 필요한 것을 정리한 것 실행파일, 라이브러리, 모듈, 설정파일, 자원(이미지, 음악 파일 등)
미들웨어
사용자의 특정한 요구대로 만들어 제공하는 프로그램, 운영체제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중간에서 조정과 중개의 역할 수행
메모리를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누어 두는 것 → CPU가 메모리에 더 빨리 접근 가능
컴퓨터 설계에 있어 각각의 특징이 있는 서로 다른 여러 종류의 저장 장치를 함께 사용하여 최적의 효율을 도출
명칭
위치
접근 속도
레지스터
CPU 내부
빠름
캐시
CPU 내부
빠름
메모리
CPU 외부
레지스터와 캐시보다 속도 느림
하드디스크
CPU 직접 접근 불가
데이터를 메모리로 이동시켜 접근 가능
1.1. 레지스터
CPU(중앙처리장치)가 요청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억 장치
컴퓨터에서 4대 주요 기능(기억, 해석, 연산, 제어)를 관할하는 장치
프로세서에 위치한 고속 메모리로, 프로세스가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소량 데이터, 처리 중인 중간 결과 등)를 담고 있는 영역
CPU는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방법이 없으므로 메모리로 직접 데이터 전송 불가
연산을 위해 반드시 레지스터를 거쳐야 하며, 이를 위해 레지스터는 특정 주소를 가리키거나 값을 읽기 가능
CPU 내부 레지스터 종류
종류
설명
프로그램 계수기 (PC, Program Counter)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instruction)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누산기 (AC, Accumulator)
연산 결과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레지스터
명령어 레지스터(IR, Instruction Register)
현재 수행 중인 명령어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상태 레지스터(SR, Status Register)
현재 CPU의 상태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MAR, Memory Address Register)
메모리로부터 읽어오거나 메모리에 쓰기 위한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MBR, Memory Buffer Register)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데이터 또는 메모리에 써야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입출력 주소 레지스터 (I/O AR, I/O Address Register)
입출력 장치에 따른 입출력 모듈의 주소를 가지고 있는 레지스터
입출력 버퍼 레지스터 (I/O BR, I/O Buffer Register)
입출력 모듈과 프로세서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레지스터
1.2. 캐시
캐시 개념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 사용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를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경우
속도가 빠른 장치와 느린 장치 사이에서 속도 차에 따른 병목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범용 메모리 ※ 캐싱(caching) : 더 빠른 메모리 영역으로 데이터를 가져와서 저장하는 방식
캐시 종류
1. CPU 캐시
대용량의 메인 메모리 접근을 빠르게 하기 위해 CPU 칩 내부나 바로 옆에 탑재하는 작은 메모리
하드웨어를 통해 CPU 캐시 관리
종류
설명
CPU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
L1 캐시
일반적으로 CPU 칩안에 내장되어 데이터 사용 및 참조에 가장 먼저 사용되는 캐시 메모리
O
L2 캐시
L1 캐시 메모리와 용도와 역할이 비슷 속도 : L1 캐시 > L2 캐시> 일반메모리(RAM)
O
L3 캐시
L1 캐시, L2 캐시와 동일한 원리로 작동 대부분 CPU가 아닌 메인 보드에 내장
X
2. 디스크 캐시
하드디스크에 내장된 디스크에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은 메모리
3. 그 외 캐시(예시: 페이지 캐시)
운영 체제의 메인 메모리를 하드디스크에 복사해 놓는 캐시 (ex. 웹 브라우저의 웹 페이지 캐시)
캐시 지역성
데이터 접근이 시간적, 혹은 공간적으로 가깝게 일어나는 것
캐시가 효율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캐시가 저장할 데이터 지역성 필요
지역성 종류
종류
설명
시간적 지역성
특정 데이터가 한 번 접근되었을 경우, 가까운 미래에 또 한 번 데이터에 접근할 가능성이 높음
공간적 지역성
액세스 된 기억장소와 인접한 기억장소가 액세스 될 가능성이 높음
1.3. 메인 메모리
메인 메모리 개념
주기억장치 (1차 기억 장치)
컴퓨터에서 수치, 명령, 자료 등을 기억하는 컴퓨터 하드웨어 장치
메인 메모리 구성 1. RAM(Random Access Memory) : 휘발성 기억 장치 • 컴퓨터가 빠른 액세스를 하기 위해 데이터를 단기간 저장하는 구성 요소 • 사용자가 요청하는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스토리지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로드하여 각각 정보에 access • 전원이 유지되는 동안 CPU의 연산 및 동작에 필요한 모든 내용 저장
2. ROM(Read Only Memory) : 고정 기억 장치 • 컴퓨터에 지시 사항을 영구히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 전원 종료 시 기억된 내용 유지 • 변경 가능성이 희박한 기능 및 부품에 사용 1. 소프트웨어 : 초기 부팅 관련 부분 2. 하드웨어 : 프린터 작동에 관여하는 펌웨어 명령 등
1.4.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하드디스크 개념 • 비휘발성, 순차 접근이 가능한 컴퓨터의 보조 기억 장치 • 비휘발성 데이터 저장소 가운데 가장 대중적이며 용량 대비 가격기 가장 저렴
하드디스크 작동 원리 • 보호 케이스 내부의 플래터 회전 → 플래터에 자기 패턴으로 정보 기록 • 플래터 표면의 코팅된 자성체에 데이터 기록 • 회전하는 플래터 위에 부상하는 입출력 헤드에 의해 자기적으로 데이터 기록 및 조회 가능
하드디스크 구성 요소
요소
설명
제어회로
하드 디스크의 총괄적인 부분을 제어하는 회로 제어 회로 내부의 버퍼 메모리는 하드 디스크에 입출력 될 데이터를 임시 저장
스핀들 모터
플래터의 회전을 담당하는 부분
플래터
데이터 기록 담당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한 개 이상 장착 플래터 수 ↑ → 용량 저장 크기 ↑, 안정성 ↓
액추에이터
제어 회로의 명령에 따라 액추에이터 암 구동 → 헤드가 원하는 데이터 조회 가능
액추에이터 암
액추에이터를 통해 구동 1. 하나의 디스크에 여러 개 존재 2. 암의 끝 부분에 입출력을 위한 헤드 존재
헤드
데이터를 읽고 쓰는 헤드
2. 메모리 계층 구조 필요성
2.1. 디코딩(명령어 해독 단계) 속도
디코딩(Decoding) : 복호화, 부호화(Encoding)된 정보를 부호(code)화 전으로 되돌리는 처리 혹은 처리 방식
CPU는 3개의 버스를 통해 메모리에 접근 1. 주소 전달 버스 : CPU가 메모리 어느 부분에 접근할지 나타냄 2. 데이터 전달 버스 : 메모리와 CPU 간 데이터 전송 3. 컨트롤 신호 버스 : CPU의 메모리 접근 여부 표시
주소 전달 버스 및 데이터 전달 버스에 값이 존재하고 컨트롤 신호 전송 → CPU와 메모리 업무 수행
큰 메모리 용량을 사용할 경우 디코딩 시 많은 시간 소요 → CPU가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가 작아야 함
2.2. 참조의 지역성
큰 메모리를 사용한다고 해도 그 안의 모든 데이터에 고르게 접근하지 않고 자주 쓰이는 데이터와 자주 쓰이지 않는 데이터로 나누어짐
운영체제•CPU → 자주 쓰이거나 쓰일 것 같은 데이터를 메모리에서 캐시로 읽어옴
자주 쓰이는 데이터는 전체 데이터 양에 비해 작은 양이므로 캐시는 메모리보다, 메모리는 하드디스크 보다 ↓
2.3. 경제성
메모리 구조에서 상층에 속할수록 가격 ↑
메모리 계층 구조의 모양이 피라미드인 이유 1. 가격이 높은 하드웨어의 경우 필요한 만큼의 크기만 사용 2. 가격이 저렴한 하드웨어를 넉넉한 크기만큼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