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IS는 도메인 이름이나 IP 주소의 레지스트리가 관리하는 등록과 할당 정보를 인터넷에 공개하여 이용자가 참고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 ICANN에서는 WHOIS를 "도메인이나 IP 주소의 관리 책임자는 누구인가를 질문하는 시스템"으로 정의 → 누구나 쉽게 도메인 등록 정보를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 어느 Registrar나 Registry 사이트를 방문하더라도 손쉽게 도메인 정보 검색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어야함
  • WHOIS는 도메인을 확인하고 도메인과 관련된 사람과 인터넷의 자원을 찾아보기 위한 프로토콜로써 만들어짐
  • WHOIS는 전세계적으로 모든 국가에는 ISO3166-1에 지정한 2문자로 된 국가코드가 부여
    1. 한국의 경우, ISO3166-1 국가코드는 KR
    2. 북한은 KP이지만, 아직 APNIC에 가입되어 IP를 할당 받은 것은 없음
  • 도메인 등록 사업을 운영하고자 하는 자는 ICANN으로부터 그 자격을 인증 받아야 함
  •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 대륙별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관)에 가입되어 있는 국가들 중에서도 WHOIS 서버를 공식적으로 제공하지 않는 국가들도 많음
  • WHOIS 서버에 쿼리할 때는 서버의 포트를 지정 → WHOIS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43번 포트를 사용


WHOIS 서비스를 공식 서비스하는 국가별 WHOIS 서버의 인터넷 주소들

담당지역 Whios 서버
전체 whois.internic.net
유럽 www.ripe.net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www.arin.net
호주 whois.aunic.net
프랑스 whois.nic.fr
일본 whois.nic.ad.jp
영국 whois.nic.uk
한국 whois.krnic.net
해커들을 위한 whois www.geektools.com


WHOIS 서버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 → 관리자 이름, 연락처등등은 사회 공학적 방법으로 사용 가능

  • 도메인 등록 정보를 제공하는 곳은 등록자의 데이터를 받아 보관하고 관리하는 Registry와 Registrar 두 곳
  • ccTLD와 gTLD의 정책 결정 기구가 다르기 때문에 도메인마다 공개되는 등록 데이터에는 차이가 있음
  • WHOIS가 제공하고 있는 주요한 등록 정보를 확인
  • 도메인 등록인 혹은 홈페이지의 운영자와 관련된 연락 정보는 아래 정보 리스트에서 붉은 색으로 표시
  • 전세계 수십억의 인터넷 사용자가 언제든지 확인 가능한 개인의 전화번호와 이메일 등록 필요 → 메인 등록 정보 제공이 개인정보를 침해한다는 문제가 계속해서 제기
  • 정보 리스트
    1. 등록 , 관리 기관
    2. 도메인 이름, 도메인 관련 인터넷 자원 정보
    3. 목표 사이트 네트워크주소와 ip주소
    4. 등록자, 관리자, 기술 관리자의 이름 및 연락처, 이메일 계정
    5. 레코드 생성 시기와 갱신 시기
    6. 주 DNS서버와 보조 DNS서버
    7. IP 주소의 할당 지역 위치

WHOIS 의 사용 세가지 목적

  • 기술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당사자의 연락처 정보 확보
  • 도메인 이름의 등록 상태 확인
  • 보안 사고나 도메인 이름과 상표의 관계 등 비기술적인 문제 해결


※ 참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