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https://obsproject.com/kb/stream-connection-troubleshooting

 

Stream Connection Troubleshooting | OBS

Stream Connection Troubleshooting 2024-09-30 If you experience dropped frames or intermittent disconnections while streaming, there is a network issue between your computer and the remote stream ingest server. Such issues can arise for a variety of reasons

obsproject.com

 

  • 스트리밍 중 프레임 드롭(dropped frames)이나 간헐적인 연결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면, 사용자의 컴퓨터와 원격 스트리밍 인제스트 서버 간 네트워크 문제에 발생
  • 프레임 드롭(dropped frames)이나 간헐적인 연결 끊김 현상 문제는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 → OBS Studio의 통제 범위를 벗어남

 

드롭된 프레임(dropped frames)

  • 드롭된 프레임(dropped frames)은 원격 서버와의 연결이 불안정하거나 설정된 비트레이트를 유지하지 못함을 의미
  • 프로그램은 보상을 위해 일부 비디오 프레임을 강제로 삭제
  • 너무 많은 프레임을 드롭하면 스트리밍 서버에서 연결이 끊길 수 있음
     
  • OBS Studio가 프레임 드롭(dropped frames)을 유발할 가능성은 극히 희박
  • 기술 설명을 참조 > https://gist.github.com/jp9000/5793a3f4ae15913c858913d6a00824b7

 

1. 다른 서버로 스트리밍하기(Stream to a Different Server)

  • Settings > Stream으로 이동하여 다른 서버로 스트리밍을 시도
  • Twitch로 스트리밍 중이며 Windows를 사용하는 경우, TwitchTest를 사용하여 품질 점수가 가장 높은 서버를 검색
  • 향상된 방송(Enhanced Broadcasting) 기능을 비활성화하거나 TwitchTest 결과에서 확인된 대역폭보다 낮은 최대 스트리밍 대역폭을 설정하여 테스트 진행 가능

 

2. 비디오 비트레이트(Video Bitrate) 낮추기

  • Settings > Output으로 이동하여 비디오 비트레이트(Video Bitrate)를 낮추기 
  • 비트레이트(Bitrate)는 안정적인 업로드 속도(upload speed)와 스트리밍 서비스의 비트레이트 제한(bitrate limitations)에 따라 달라짐 
  • 총 업로드 속도(total upload speed)의 75%로 설정하는 것이 좋은 시작점(starting point)

 

3. 다른 서비스로 스트리밍(stream)하기

  • Settings > stream으로 이동하여 다른 서비스로 스트리밍(stream) 변경
  • 예시) Twitch로 스트리밍 중이라면 YouTube로 스트리밍하여 연결 상태를 테스트
  • 참고 : 특정 서비스의 연결 문제는 해결되지 않지만, 서비스 관련 문제인지 확인하는 데 도움됨

 

4. 네트워크 최적화 및 TCP 페이싱 활성화

  • Settings > Advanced → Network로 이동하여 '네트워크 최적화 활성화(Enable network optimizations)'와 'TCP 페이싱 활성화(Enable TCP pacing)'를 선택 
  • 일부 사용자는  '네트워크 최적화 활성화(Enable network optimizations)'와 'TCP 페이싱 활성화(Enable TCP pacing)' 설정으로 프레임 드롭(dropped frames)이나 연결 끊김 문제(disconnection issues)가 개선되었다고 보고 
  • 문제 해결을 위한 로그(log)에 추가 세부 정보(further details)가 기록
    ※ 참고: 해당 Settings은 Windows에서만 사용 가능

 

5. “Bind to IP”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

  • Settings > Advanced → Network 로 이동하여 Bind to IP가 기본값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6. IP 패밀리를 IPv4 전용으로 설정

  • Settings > Advanced → Network로 이동하여 IP Family를 IPv4 전용으로 설정 필요
    ※ 참고: 연결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기본 설정인 IPv4 및 IPv6을 유지하는 것이 좋음

 

7. 동적 비트레이트 조정 활성화

  • Settings > Advanced → Network로 이동하여 ‘Dynamically change bitrate to manage congestion(혼잡 관리 위해 비트레이트 동적 변경)’ 항목을 선택
  • 연결 상태가 불안정할 때 프레임 드롭(dropped frames) 대신 비트레이트(bitrates)를 낮춰 전송

    ※ 참고
    • 프레임 드롭(dropped frames)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않으며, 연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경우에만 사용
    • 비트레이트(bitrates) 감소는 영상 품질 저하를 동반

 

 

OBS Studio 외부의 소프트웨어

원인 해결책
보안 소프트웨어 간섭
보안 소프트웨어(방화벽/바이러스 백신)가 OBS Studio와 스트리밍 서버 간의 연결을 방해 가능
보안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으로 비활성화하여 원인이 되는지 확인 필요
문제가 해결되면 OBS Studio에 대한 예외를 추가하고 보안 소프트웨어를 다시 활성화
VPN 소프트웨어 간섭
VPN 소프트웨어로 인해 스트리밍 서버와의 연결이 불안정 
VPN을 비활성화하여 네트워크 불안정성의 원인인지 확인 필요 
Bundled(번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 일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는 OBS Studio의 우선순위를 낮춰 필요한 비트레이트를 유지하지 못하게 할 수 있음
- 네트워크 연결을 최적화(optimize)하거나 조정(tweak)한다고 표방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반드시 확인 필요
1. Lenovo Vantage → Lenovo Vantage 소프트웨어 내에서 네트워크 부스트 옵션을 비활성화
2. Killer NIC → Killer NIC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제거한 후 설치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하고, 하드웨어 드라이버만 설치하도록 선택
3. 기타 소프트웨어 → 소프트웨어를 완전히 제거하거나 비활성화한 후 연결 상태를 다시 테스트
구형 네트워크 드라이버
구형 네트워크 드라이버는 연결 상태가 나빠질 수 있음
컴퓨터 또는 메인보드 제조업체 웹사이트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십시오.

 

 

Potential Hardware Issues (잠재적인 하드웨어 문제)

원인 해결책
WiFi를 통한 스트리밍
스트리밍에 WiFi가 불안정
스트리밍 시에는 유선 연결을 사용하는 것이 좋음
모뎀/라우터 연결 문제
모뎀/라우터에 일반적인 연결 문제가 있있을 수 있음
잠재적인 연결 문제를 해결하려면 모뎀과 라우터를 모두 재시작
하드웨어 결함
연결 경로 상의 하드웨어에 결함이 있을 수 있음
모뎀, 라우터, 네트워크 케이블, 네트워크 카드 또는 스위치나 익스텐더와 같은 기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
하드웨어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려면 각 하드웨어를 하나씩 교체 필요

※ 참고
하드웨어에 결함이 있는지 확실하지 않은 경우, 직접 장비를 교체하기 전에 반드시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문의 필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문의 필요

  • 가이드의 문제 해결 단계를 모두 수행했음에도 연결 문제가 지속된다면,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문의 필요 
  • OBS Studio는 사용자의 네트워크에 의존하며, 네트워크의 상당 부분은 사용자의 직접적인 통제 범위를 벗어남 
  • ISP는 종종 자체적으로 변경 사항을 적용하거나, 연결 경로에 예상치 못한 혼잡(congestion)이 발생할수 있음

 

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https://obsproject.com/kb/plugins-guide

 

Plugins Guide | OBS

Plugins Guide 2022-09-01 Table of Contents Compatibility Install or remove plugins Plugins OBS Studio supports a variety of plugins that provide new kinds of sources, filters, and features. Some plugins also allow OBS Studio to communicate with certain kin

obsproject.com

 

  • OBS Studio는 새로운 종류의 소스, 필터 및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플러그인을 지원
  • 일부 플러그인은 Elgato Stream Deck과 같은 특정 하드웨어와 OBS Studio가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
  • OBS 프로젝트는 포럼에서 커뮤니티 제작 플러그인 목록을 관리 → https://obsproject.com/forum/plugins/
  • 일부 플러그인은 Flathub를 통해 Linux 사용자도 이용 가능

 


Compatibility (호환성)

  • 대부분의 플러그인은 OBS Studio가 지원되는 모든 플랫폼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개발
  • 다음과 같은 경우 플러그인이 사용 중인 OBS Studio 버전과 호환되지 않을 수 있음
    1. 플러그인이 특정 플랫폼에서만 제공되는 경우 (예: Windows에서는 가능, macOS에서는 불가능)
    2. 플러그인이 동일한 아키텍처용으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 (예: x86_64 가능, ARM64 불가능)
    3. 사용 중인 OBS Studio 버전에 맞게 플러그인이 업데이트되지 않은 경우

 

Install or remove plugins (플러그인 설치 또는 제거)

  • OBS Studio의 인기 플러그인 대부분은 설치 프로그램이 함께 제공 → 일반적으로 플러그인은 아래에 나열된 위치에 설치
  • 플러그인을 수동으로 설치해야 하는 경우, 관련 파일은 다음 폴더 중 하나에 위치해야 할 가능성이 높음

 

  • 플러그인 설명서를 확인
    운영체제 경로 및 설명
    Windows (all users) C:\Program Files\obs-studio\obs-plugins\64bit or C:\ProgramData\obs-studio\plugins

    ※ 참고
    - ProgramData 폴더에 설치된 플러그인은 특정 디렉터리 구조를 요구
    - 플러그인 이름으로 명명된 폴더에는 bin 폴더와 data 폴더가 포함 필요 
    - bin 폴더 내에는 플러그인은 .dll 파일을 포함하는 64bit 폴더가 필요 
    - data 폴더 내에는 로케일(locale)은 .ini 파일을 포함하는 locale 폴더가 필요 
    - 수동 설치 시 권장되는 위치
    Windows
    (legacy 32-bit plugins;
    OBS Studio 27.2.4 and prior only)
    C:\Program Files\obs-studio\obs-plugins\32bit
    macOS ~/Library/Application Support/obs-studio/plugins

    ※ 참고
    - 이 폴더 안에는 각 플러그인마다 .plugin으로 끝나는 별도의 번들이 있어야 함
    - 파인더(finder)에서 이들을 보면 하얀색 플라스틱 장난감 블록처럼 보임
    Linux ~/.config/obs-studio/plugins
    Linux
    (Flatpak)
    Install plugins using Flatpak

 

  • OBS Studio를 사용자 지정 위치에 설치하거나 휴대용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설치 프로그램의 대상 폴더를 사용자 지정 위치의 data/plugins 폴더로 변경 필요
  • 사용자 지정 플러그인 디렉터리를 사용하려면 환경 변수 OBS_PLUGINS_PATH 및 OBS_PLUGINS_DATA_PATH를 원하는 디렉터리로 설정 필요

 

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https://obsproject.com/kb/virtual-camera-guide

 

Virtual Camera Guide | OBS

Virtual Camera Guide 2022-08-31 What is the virtual camera? The Virtual Camera is a feature of OBS Studio that allows you to share your OBS Studio scene with any applications that can make use of a webcam, such as Zoom, Skype, Discord, etc. This feature is

obsproject.com

 

가상 카메라란 무엇인가요?

  • 가상 카메라는 OBS Studio의 기능으로, OBS Studio 장면을 Zoom, Skype, Discord 등과 같이 웹캠을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애플리케이션과 공유할 수 있게 해줌
  • 가상 카메라 기능은 화면을 직접 캡처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에 특히 유용

 

 

가상 카메라(virtual camera) 사용하기

  • 가상 카메라를 시작하려면 컨트롤 도크에서 'Start Virtual Camera(가상 카메라 시작)'을 클릭 
  • 가상 카메라를 중지하려면 동일한 버튼을 다시 클릭(이때 버튼에는 '가상 카메라 중지'라고 표시).

 

  • 가상 카메라 설정을 조정하려면 컨트롤 도크의 ⚙ 기어 아이콘을 클릭

 

 

  • 가상 카메라 설정 창에서 다음 설정을 조정 가능
    1. Program (프로그램) → 가상 카메라는 OBS Studio가 일반적으로 출력하는 내용을 표시
    2. Preview (미리보기)  → 스튜디오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가상 카메라는 미리보기를 표시, 비디오 피드를 시청하는 모든 사람이 장면 변경, 편집 작업 등을 볼 수 있음을 의미
    3. Scene(장면)  → 가상 카메라는 출력에 현재 표시되는 내용과 관계없이 하나의 장면만 표시
    4. Source(소스)  → 가상 카메라는 항상 하나의 소스만 표시

 

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https://obsproject.com/kb/scene-collections

 

Scene Collections | OBS

Scene Collections 2022-01-14 Scene Collections save all Scenes and Sources that have been added to it. Similar to Profiles for output settings, you can store multiple different collections of saved Scenes and Sources. Then, you can swap between different c

obsproject.com

 

OBS Studio Scene(장면) 컬렉션 기능

  • Scene Collections(장면 컬렉션)은 추가된 모든 Scene(장면)과 Source(소스)를 저장
  • Output settings(출력 설정) 용 프로필과 유사하게, 저장된 장면과 소스의 여러 다른 컬렉션을 저장 가능
  • 다음 다양한 상황에 맞게 서로 다른 collections(컬렉션) 간에 전환 가능

 

예시:

  • Scenes(장면) 목록의 Scenes(장면) 수 줄이기
  • 서로 다른 streams(스트림)을 위한 다른 collections(컬렉션) → 예시: 팟캐스트 vs 개인 게임 스트림
  • 녹화 전용으로 streaming overlays(스트리밍 오버레이)가 없는 collection(컬렉션)

 

참고: Scene Collections(장면 컬렉션)에는 설정 → 오디오의 전역 오디오 소스도 포함

 

  • Scene Collections(장면 컬렉션)의 "Import" 옵션은 OBS Studio 컬렉션 뿐만 아니라 OBS Classic, XSplit Broadcaster 또는 Streamlabs Desktop 장면의 마이그레이션도 지원
  • 다른 운영 체제에서 생성된 OBS Studio 장면 컬렉션을 현재 실행 중인 운영 체제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

 

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 Profile(프로필)은 주로 출력과 관련된 OBS Studio 설정의 상당 부분을 저장 
  • Profile(프로필)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작업 중인 스트림이나 녹화에 따라 저장된 다양한 설정 간에 빠르게 전환 가능
  • Profile(프로필)을 Scene Collections(장면 컬렉션)과 함께 조합하여 settings(설정)과 scenes(장면)을 유연하게 관리, 백업하고 최대한 활용 가능


Profile(프로필) 예시

  • 트위치 스트리밍용 프로필과 유튜브 스트리밍용 프로필
  • 1080p 출력용 프로필과 4K 출력용 프로필
  • 집에서 사용하는 고비트레이트·고해상도 프로필과 모바일 스트리밍용 낮은 설정 프로필

 

프로필 사용법

  • window/screen 상단의 Profile(프로필) 메뉴를 클릭

 

  • Profile(프로필) 메뉴 항목설명
메뉴 항목 설명
New 기본 설정으 빈 Profile(프로필) 생성
Duplicate 현재 Profile(프로필)의 Copy(복사본) 생성
Rename 현재 Profile(프로필)의 이름 변경
Remove 현재 Profile(프로필)의 삭제
Import/Export 현재 Profile(프로필) 설정을 JSON 파일로 내보내 백업용으로 사용 혹은 다른 OBS 설치 환경에서 사용
받은 JSON 파일을 가져와 Profile(프로필) 설정에 추가

 

 

Profile(프로필)에 저장되는 설정

  1. Stream (스트림) → 연결된 계정 포함
  2. Video (비디오) → 기본 (캔버스) 해상도 포함
  3. Output (출력) → 모든 유형

 

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Aspect Ratio Guide | OBS

Aspect Ratio Guide 2021-11-27 Summary For best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you produce your content at a 16:9 resolution such as 1920x1080 or 1280x720. If you don't have a 16:9 monitor, or your content is not in a 16:9 resolution, it is recommended tha

obsproject.com

 

  • 최상의 결과를 위해서는 1920x1080 또는 1280x720과 같은 16:9 해상도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우선 권장
  • 16:9 모니터가 없거나 콘텐츠가 16:9 해상도가 아닌 경우, 이미지(images), 오버레이(overlays), 카메라(cameras) 등과 같은 다른 콘텐츠로 "black space"을 채우는 것을 권장

 

1. 종횡비 선택

1.1. 종횡비란 무엇인가요?

  • 종횡비는 이미지의 너비와 높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숫자 → X:Y 형태의 비율로 표현
  • 이미지의 해상도가 640x480(너비 640픽셀, 높이 480픽셀)인 경우, 이미지의 넓이를 4픽셀 증가될 때 마다 높이 3픽셀 증가 → 이미지의 종횡비는 4:3으로 표현
  • 1:1 종횡비를 가진 이미지는 완벽한 정사각형 → 이미지의 넓이를 1픽셀 증가될 때 마다 높이 1픽셀 증가
  • 컴퓨터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일반적인 종횡비는 16:9 → 16:9 종횡비를 가진 해상도의 예로 1920x1080("1080p"), 1280x720("720p"), 3840x2160("4K")
     
  • 아래 그림은 16:9 모니터에서 다양한 종횡비가 어떻게 보일지 표시

 

1.2. 무엇을 목표로 해야 하나요?

  • 컴퓨터 디스플레이에서 가장 일반적인 종횡비는 여전히 16:9 → 트위치, 유튜브 등과 같은 많은 대형 스트리밍 및 콘텐츠 플랫폼이 기대하는 비율
  • 그럼에도 불구하고 16:9 종횡비를 따르지 않는 이유가 존재 → 스케일링 작업을 줄이기 위한 경우(화질 저하를 초래함)나, 다른 종횡비에 최적화된 특정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등 여러 이유가 있음

 

 

2. 콘텐츠 적응

  • 선호하는 종횡비에 맞지 않는 Sources나 Contents가 있어서 검은 테두리가 생길 수 있음
  • 콘텐츠를 맞추기 위해 "stretching(늘리기)"을 할 수 있는 옵션이 있지만, Sources/Images를 왜곡하고 변형시키므로 일반적으로 권장 X
  • 다른 방법은 Sources 크기를 확대하여 Contents/Images의 일부가 preview/canvas 영역 밖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 → Sources의 일부(예: 상단과 하단)가 잘리는 pan and scan 방식이 적용 (빨간 부분이 손실)

 

 

3. 특정 콘텐츠 주변의 장면 구축

  • 레트로 게임이나 구형 콘솔을 플레이하거나, 16:9 화면비에 딱 맞지 않는 콘텐츠를 보유한 경우라면, 장면 설정에 약간의 창의성을 발휘해 볼 수 있음

 

3.1. 구형 콘솔 (예시)

  • 게임이 16:9에 맞지 않는 슈퍼 마리오 장면
    1. 선명도, 종횡비를 유지하고 전체 소스를 유지하기 위해 게임을 신중하게 스케일링하기로 선택.
    2. 프레임을 채우기 위해 채팅, 소셜 미디어 및 일부 배경 요소를 추가

 

 

4. 스케일링, 자르기, 늘리기 및 필터링

  • 원하는 방식으로 Sources를 맞추기 위해 사용해야 할 몇 가지 도구

 

4.1. 스케일링(Scaling)

  • 가장 쉬운 크기 조정 방법은 Sources 이미지의 가장자리에 있는 빨간색 사각형을 드래그하는 것 → 사각형을 선택했는지 확인
  • 픽셀 아트나 구형/레트로 Sources처럼 스케일링에 특히 민감한 Sources의 경우, 원본 크기의 두 배나 절반으로 조정하는 등 정수(integer) 값으로 스케일링하는 것 추천
    • 원본 크기의 두 배나 절반으로 조정하는 이유는 선명도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 
    • Ctrl+E로 “Edit Transform(변환 편집)” 메뉴에 들어가 값을 두 배/반으로 조정

 

4.2. 자르기(Cropping)

  • 빨간색 사각형을 사용할 수 있지만, 키보드의 Alt 키를 누른 상태에서 자르기 가능
  • 자른 가장자리는 녹색으로 표시
  • 정확한 자르기는 “Edit Transform(변환 편집)” Ctrl+E 메뉴에서도 수행 가능

 

4.3. 늘리기(Stretching)

  • Stretching 방법은 콘텐츠를 맞추는 데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방식 → 권장 X 
  • Stretching 방식은 대부분 흐릿하고 모양이 일그러진 엉망진창으로 보일 가능성이 높음 → 사용 시 주의 필요
  • Stretching 실행 시 키보드의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Sources 이미지의 빨간 점을 드래그

 

4.4. 스케일 필터링 (Scale Filtering)

  • 특정 스케일링 options은 다양한 종류의 Sources에 따라 더 효과적 
  • Sources를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한 후 Scale Filtering을 선택하면 해당 특정 스케일링 options을 이용 가능

 

  • Sources가 흐릿하거나 부드럽게 보인다면, 바이큐빅(bicubic)으로 변경 
  • 레트로(retro)나 픽셀 아트(pixel art) 스타일의 경우 원본의 선명한 느낌을 유지하기 위해 포인트(point)나 어레아(area)를 사용

 

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https://obsproject.com/kb/game-capture-setup-guide

 

Game Capture Setup Guide | OBS

Game Capture Setup Guide 2021-11-10 How To Set Up Game Capture In your Sources Box, select the + and choose Game Capture, it will bring up the window below Add a new source named after your game, or select one from the list if you have previously added gam

obsproject.com

 

  • 게임 이름으로 새 Source를 추가하거나, 현재 장면 컬렉션 내 다른 장면에서 게임 캡처를 이전에 추가한 적이 있다면 목록에서 선택
  • 각 게임을 개별적으로 지정하는 경우 장면 당 하나의 게임 캡처 Source만 사용하는 것이 권장

 

1. Source 박스에서 +를 선택하고 게임 캡처(Game Capture)를 선택하면 아래 창이 출력

  1. 게임 이름으로 새 소스를 추가하거나, 현재 장면 컬렉션 내 다른 장면에서 이전에 게임 캡처를 추가한 적이 있다면 목록에서 선택
  2. 각 게임을 개별적으로 지정하는 경우 장면당 하나의 게임 캡처 소스만 사용하는 것을 권장

 

 

2. 속성 창이 열리면 원하는 모드(Mode)를 결정

  1. Fullscreen : 애플리케이션이 켜지면 애플리케이션이 무엇인지에 관계없이 모든 전체화면 게임을 단순히 캡처
  2. Capture specific window : 원하는 정확한 게임을 지정 가능 선택하면 게임이 실행 중이어야 하며, 창 dropdown에서 게임 이름을 선택
  3. Hotkey Method : 누르는 Hotkey에 따라 게임을 선택

 

 

3. 속성 창이 열릴 때 모드(Mode) 이외에 추가 옵션 

  • 일반적으로 표시된 대로 기본값으로 두는 것이 좋음
  • SLI 캡처는 특정 하드웨어 설정이 아닌 경우 게임 캡처가 중단되는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음
     
  • 게임을 자주 바꾸는 경우, 키를 눌러 활성 게임을 선택할 수 있는 Hotkey 모드 추천
  • 개별 장면을 생성하고 단일 게임 캡처를 지정된 창으로 설정하여 장면을 깔끔하게 유지 가능
     
  • 대부분의 경우, 게임 캡처 속성 창에서 변경 사항을 적용하면 게임 캡처가 정상 작동하며, 소스를 선택하고 게임이 실행 중일 때 OBS 미리보기 창에 표시

 

 

해당 내용은 OBS 공식 문서 내용을 참고하여서 작성하였습니다.

https://obsproject.com/kb/obs-studio-overview

 

OBS Studio Overview Guide | OBS

OBS Studio Overview Guide 2021-08-25 Table of Contents Quick Start Settings Scenes and Sources Filters Studio Mode Testing / Finishing Up Resource Links This guide assumes you already have a basic knowledge of streaming services and streaming terminology,

obsproject.com

 

Scenes(장면)과 Sources(소스)는 OBS Studio의 핵심 기능

  • stream layout을 설정하고, 게임, 웹캠 및 출력에 포함하고 싶은 기타 장치나 미디어를 추가 가능
  • Scenes(장면) 목록에 아직 Scenes(장면)이 없는 경우, 아래 박스에서 우클릭하거나 하단의 플러스 버튼을 사용하여 장면을 추가 필요

 

 

  • 원하는 만큼 Scenes (장면)을 생성할 수 있으며,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이름을 지정 가능 → 화살표 버튼을 사용하여 순서를 변경 가능
  • 예시: Welcome(환영), Desktop, Game(게임), Break, End(종료)
     
  • 중요한 참고 사항으로, OBS Studio에서 모든 Scene(장면)과 Sources(소스)는 전역적이기 때문에 이름을 공유할 수 없음
  • Sources(소스) 이름을 Game으로 지정한 경우, Game이라는 이름의 Scene(장면)을 가질 수 없음

  • Scene(장면)을 생성한 후, Sources(소스) 박스에서 마우스 우클릭하거나 하단의 플러스 버튼을 사용하여 캡처하려는 항목을 추가

  • OBS Studio에는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소스가 제공
    1. specific window(특정 창)
    2. a capture card or game(캡처 카드)
    3. game(게임)
    4. image(이미지)
    5. text(텍스트)
    6. entire display (전체 화면)을 캡처

 

 

  • preview(미리보기)에서 Sources(소스)를 재정렬하고 목록에서 drag and drop하거나 위 아래 화살표 버튼을 사용하여 순서를 변경 가능
  • 목록에서 다른 Sources(소스)보다 위에 나열된 Sources(소스)는 아래 있는 것을 가릴 수 있음
  • webcam(웹캠)으로 게임 플레이 화면 위에 표시하는 등 특정 항목을 다른 Sources(소스) 위에 배치하려는 경우에도 유용
  • 눈 모양 아이콘(👁️)이 클릭하면 해당 항목을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음(필터에도 동일하게 적용)

 

화면에서 보여주고 싶은 부분만 자르고 확대하기 위해 두 기법

1. Sources(소스)를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만드는 데 사용

  • Sources(소스) 목록에서 Sources(소스)가 선택되면 주위에 red box(빨간 박스)가 표시
  • red box(빨간 박스)는 bounding box(경계 상자)이며, preview(미리보기) 내에서 Sources(소스)를 배치하고 Sources(소스)를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만드는 데 사용

※ OBS Studio의 기본(캔버스) 해상도를 변경하면 소스를 다시 정렬하거나 크기를 조정 → 출력(스케일) 해상도를 변경 효과 X

 

 

2. Sources(소스)를 자르기(crop) 사용

  • Sources(소스)를 자르기(crop)해야 하는 경우, Alt 키를 누른 채로 bounding box(경계 상자)를 드래그를 통해 설정 가능
  • 가장자리가 녹색으로 변할 경우 자르기 중임을 표시

※ OBS Studio의 기본(캔버스) 해상도를 변경하면 소스를 다시 정렬하거나 크기를 조정 → 출력(스케일) 해상도를 변경 효과 X

 

 

3. preview(미리보기)에서 Source(소스) 위치와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 다음 Hotkeys를 사용 가능

  • CTRL 누름: 소스/가장자리 스냅 비활성화
  • ALT 누름: 자르기 활성화
  • CTRL+F: 화면에 맞춤
  • CTRL+S: 화면에 늘임
  • CTRL+D: 화면 중앙 정렬
  • CTRL+R: 소스 크기/위치 재설정

 

4. 목록에서 각 Source(소스)를 우클릭하여 추가 옵션에 액세스 가능

  • Sources에서 우클릭하여 옵션 확인(Sources > Transform > Edit Transform)

  • Sources Edit Transform 상태 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