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학습 용어
넷플릭스는 어떻게 콘텐츠를 보호(DRM)
hippo 데브옵스
2022. 7. 22. 02:11
1. 콘텐츠 보안과 멀티 DRM에 대한 이해
- 넷플릭스와 같은 유료 콘텐츠 사업자의 입장에서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서비스하는 콘텐츠가 불법으로 유출되어 유료 가입자의 수가 줄거나 성장이 둔화되는 것
- 콘텐츠 불법 유출을 막기 위해서 넷플릭스를 비롯한 여러 OTT 서비스들은 'DRM'과 '워터마킹'이라는 기술을 이용해 콘텐츠를 보호
2. DRM이란?
- 디지털 권리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DRM)는 저작권자가 그들이 배포한 디지털 자료의 사용을 제어하고,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하도록 제한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기술을 지칭하는 용어
- 주로 전자책, 음원, 동영상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인증된 사용자가 인증된 기간 동안만 사용 가능하도록 통제 → 정당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은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
- DRM의 기능
- 콘텐츠의 암호화 및 복호화
- 암호 키 관리
- 원본 콘텐츠는 DRM 패키징이라는 과정을 거쳐 암호화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전달 → 콘텐츠 암호화에 사용된 암호 키 정보가 없이는 해당 콘텐츠를 복호화해 재생할 수 없음
- 넷플릭스를 예로 들면, 넷플릭스 iOS/Android 앱에서는 '저장' 기능을 통해 일부 TV 프로그램 및 영화 콘텐츠를 모바일 기기에 다운로드하고 나중에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시청할 수 있도록 지원
- 다운로드되는 영상 콘텐츠는 DRM이 적용되어 암호화 되어있기 때문에, 해당 파일들을 별도로 복사해 배포하더라도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일반적인 동영상 플레이어로 재생하는 것은 불가능
- 콘텐츠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는 '암호 키'와 '사용 권한 정보'가 콘텐츠와 별도로 전달 → DRM 라이선스(암호 키 + 콘텐츠 사용 권한 정보)를 안전하게 전달하고 관리하는 것이 DRM 솔루션의 핵심 기술
3. DRM과 웹 브라우저 지원
- '화면이 있는 모든 기기에 넷플릭스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넷플릭스의 비전 선언문
- 넷플릭스 서비스는 다양한 클라이언트 기기들을 지원
- PC와 노트북 사용자들을 위하여 웹 브라우저를 지원하는 것은 대부분의 온라인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에 매우 중요한 사항
- DRM이 적용된 비디오 콘텐츠를 웹 브라우저에서 재생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필요 → 관련된 동영상 스트리밍, DRM 및 웹 표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여러 변화를 거쳐왔음
3.1. 과거 - 싱글 DRM과 플러그인
- 넷플릭스가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를 시작한 2000년대 초반부터 약 10여 년 간, 대부분의 콘텐츠 서비스들은 특정 DRM 업체가 제공하는 단일 DRM 솔루션을 적용해 콘텐츠를 보호
- 마이크로소프트 PlayReady, 구글 Widevine Classic, 어도비 Access, 인터트러스트 Marlin, 잉카엔트웍스 Netsync DRM 등의 다양한 DRM 솔루션들이 콘텐츠 서비스 업체의 선택에 따라 사용
- 다양한 DRM 솔루션을 싱글 DRM'솔루션이라고 하며, 모두 플러그인 방식 브라우저 지원이라는 공통의 문제점 발생
- ActiveX 컨트롤 설치 경고 메시지
- ActiveX 컨트롤 보안 경고는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익숙할 정도로 많은 보안 솔루션에서 웹 콘텐츠와 애플리케이션 보안을 위해 사용
- 기존의 단일 방식 DRM 솔루션들도 웹 브라우저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비디오 콘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플래시와 같은 별도의 브라우저 플러그인을 사용해야 했음
- 각종 보안 이슈와 성능 등의 문제로 웹 브라우저들의 플러그인 지원이 중단되어 플러그인 방식의 DRM 솔루션은 시장에서 사라져 가고 있음
3.2. 현재 - 멀티 DRM, 플러그인으로부터의 해방
- HTML5 표준에는 플러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규격들이 추가됨
- 인크립티드 미디어 익스텐션(Encrypted Media Extension, 이하 EME) 규격은 웹 브라우저 상에서 실행되는 HTML / Javascript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이 콘텐츠 보호 시스템(DRM)과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하는 API를 제공해 암호화된 오디오와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함
- EME 규격과 미디어 소스 익스텐션(Media Source Extension, 이하 MSE) 규격을 통해 기존에는 별도의 플러그인으로 지원되던 DRM 콘텐츠의 재생이 웹 브라우저 자체적으로 지원
- 멀티 DRM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이유
- 크롬, 사파리, IE/엣지 등 각 브라우저마다 서로 다른 DRM을 기본 지원
- 마이크로소프트의 IE와 엣지 브라우저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PlayReady DRM을 지원
- 구글 크롬은 구글의 DRM인 Widevine Modular DRM을 지원
- 애플의 사파리는 FairPlay Streaming이라는 애플의 DRM을 지원
- 모질라 재단의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는 크롬과 동일하게 Widevine Modular DRM을 지원
- 윈도우, 맥 OS 등 다양한 환경의 PC 사용자들에게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PlayReady, Widevine Modular, FairPlay Streaming 이렇게 세 가지 서로 다른 DRM을 콘텐츠에 적용해야함
- 각 DRM에서 지원되는 스트리밍 방식에도 차이가 있음
- PlayReady와 Widevine → MPEG-DASH
- FairPlay DRM → HLS(HTTP Live Streaming)
- 브라우저 별 지원 DRM과 콘텐츠 형식
- 멀티 DRM 콘텐츠는 웹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 등 멀티 DRM을 지원하는 다양한 모바일 및 OTT 클라이언트 기기에서도 사용
- 멀티 DRM 적용으로 대부분의 사용자 환경을 지원할 수 있으며, 넷플릭스와 같이 멀티 DRM이 지원되지 않는 오래된 기기들까지 지원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기존 방식의 DRM도 함께 사용
3.3. 미래 - CMAF을 통한 멀티 DRM의 콘텐츠 단일화
- 멀티 DRM을 통해 플러그인 없이 브라우저를 지원 가능 → 하나의 원본 콘텐츠를 두 가지 서로 다른 스트리밍 포맷으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 발생
- MPEG-CENC(Common Encryption) 규격에 따라 PlayReady와 Widevine DRM은 하나의 DASH 콘텐츠에 적용되지만, FairPlay DRM은 별도로 HLS 콘텐츠가 필요
- DASH/HLS 두 벌 콘텐츠가 필요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일 콘텐츠로 모든 브라우저와 플랫폼을 지원하는 CMAF(Common Media Application Format) 규격이 발표.
- CMAF 단일 콘텐츠가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각 DRM과 플랫폼에서의 지원이 필요 →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구글 등 관련 업체들의 협력에 의해 대부분의 문제점들이 해결
- 2019년 현재 시점에도 CMAF을 지원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 기기들(구 버전 안드로이드 단말 등)이 시장에 존재하기 때문에, CMAF 단일 콘텐츠를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아직 더 많은 시간이 필요
- DRM 콘텐츠의 단일화 외에도 CMAF의 주요 장점으로는 'Chunked Transfer Encoding'이라는 기술을 통한 'Ultra Low Latency' 기능
- Low Latency
- 스포츠 중계와 같이 실시간으로 스트리밍 되는 라이브 콘텐츠에 가장 중요한 요소
- 최근 라이브 OTT 서비스 업계에서는 CMAF Low Latency 기술이 화두가 되고 있음
- CMAF을 통한 DRM 콘텐츠 단일화와 Ultra Low Latency 지원에 대한 내용은 별도의 글 → 참고 URL : https://pallycon.com/ko/blog/%EB%A9%80%ED%8B%B0-drm-%EC%BD%98%ED%85%90%EC%B8%A0-cmaf%EC%9C%BC%EB%A1%9C-%EB%8B%A8%EC%9D%BC%ED%99%94%ED%95%A0-%EC%88%98-%EC%9E%88%EC%9D%84%EA%B9%8C
4. 편리하지만 복잡한 멀티 DRM
- 플러그인 없이 브라우저를 지원할 수 있고 다양한 모바일과 OTT 기기들을 지원 가능한 멀티 DRM은 최종 사용자 입장에서 기존 방식의 DRM보다 훨씬 편리한 기술
- 멀티 DRM을 도입하는 콘텐츠 서비스 업체의 입장에서는 멀티 DRM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DRM과 스트리밍 포맷을 적용해야 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기술
- 복잡한 멀티 DRM 기술을 쉽고 빠르게 적용하려면, 여러 DRM 기술을 통합해 단일화된 API를 제공하고 인코더/플레이어 등 각종 미디어 관련 솔루션들과 연동되어 있는 멀티 DRM 솔루션 업체를 이용하는 것이 좋음